차상위계층 혜택에 대해서 알아보고 계시나요 ?
차상위계층은 생계가 어려운 저소득층을 위해 정보가 운영하는 지원사업입니다. 차상위계층은 기초생활수급자보다 한단계 위의 계층으로 중위소득의 50% 이하라면 신청이 가능합니다.
소득이 중위소득의 50%보다 낮다면, 무조건 신청해야하는데요 !
그만큼 다양한 복지서비스와 신청 혜택이 존재합니다. 이번 글에서는 차상위계층의 신청방법 그리고 기준, 확인 방법까지 하나하나 정리해드리겠습니다. 다른 글은 보지 않아도 궁금증이 해결될 수 있도록 이 글을 통해 자세히 알려드리겠습니다.
차상위계층이란 ?
차상위계층은 중위소득 50%이하의 계층으로 사회 경제적 지원이 절실하지만, 기존 복지제도로는 충분히 지원받지 못하는 계층을 의미합니다. 기초생활수급자 만큼의 소득이 없는 건 아니지만 생활비에 비해 턱없이 부족한 소득으로 경제적인 어려움을 겪고 있는 분들로 이런 분들을 위해 국가에서 다양한 혜택과 지원제도를 전하고 있습니다.
👇👇👇자세한 정책안내가 필요하다면👇👇👇
기초생활수급자 대상자인지 확인하고 싶다면 ? 👇👇👇
2024 기초생활수급자 생계급여 최신 내용 정리ㅣ자격 요건
기초생활수급자 생계급여가 중위소득 30%에서 2024년도에는 32%로 증가가 되면서 대상자가 늘어나게되었습니다. 뿐만 아니라 생계 급여액까지 대폭 인상됐습니다. 1인 가구 기준 89,734원, 3인가구
dreamtelling.com
차상위계층의 기준은 ?
차상위 계층으로 분류되기 위해서는 몇가지 기준을 충족해야합니다.
💡소득기준
2024년 중위소득이 크게 올랐습니다. 최저시급이 올라감에 따라 1인가구부터 6인가구까지 중위소득이 올라갔는데요 그럼에따라 차상위계측으로 인정하는 범위가 크게 올랐습니다. 차상위계층의 소득은 중위소득의 50%로 아래의 표를 확인해보시면 좀 더 쉽게 계산이 가능합니다.
1인가구 : 222만 8445원 👉중위소득 : 111만 4,222원
2인가구 : 368만 2,609원 👉 중위소득 : 184만 1,305원
3인가구 : 471만 4,657원 👉 중위소득 : 235만 7,328원
4인가구 : 572만 9,913원 👉 중위소득 : 286만 4,956원
5인가구 : 669만 5,735원 👉 중위소득 334만 7,867원
6인가구 : 761만 8,369원 👉 중위소득 3,809,184원
차상위 계층 혜택 안내
차상위 계층에는 생계 / 건강 / 주거 등 3가지 항목에서 다양한 혜택들이 존재합니다. 개인의 조건에 따라 더 많은 혜택을 받을 수 있는 기회가 열려있으니 꼼꼼한 확인이 가장 중요합니다. 하나하나 정리해드릴게요.
💡생계부분 지원
- 정부 관리 곡물 판매 60-92%할인
- 생활비, 자립, 상담, 법률 지원
- 휴대폰 요금 면제, 통화료 할인
- 급식 250일 지원
- 전기 / 도시가스 요금 할인 등등
💡건강부분 지원
-노인 실명 예방을 위한 안과 수술 및 검진 지원
- 노인을 위한 인공 무릎 수술 지원
- 미숙아 및 선청성 기형아 지원
- 보청지 기원
- 보건 용품 및 위생 용품 지원 등등
💡주거부분 지원
- 에너지 환경 지원
- 난방, 청소, 보일러 교체 등 지원
- 농촌 장애인 주거 개축사업, 화장실 개축 지원 등, 문턱 낮추기
차상위계층 신청 방법
1. 아래 버튼을 통해서 복지로 사이트로 접속해주세요 !
2. 로그인 완료후 하단에 서비스 신청 버튼을 눌러주세요

2. 차상위계층 확인 버튼을 누른뒤, 신청을 진행해주시면 됩니다.

감사합니다.
'민원 정보' 카테고리의 다른 글
IRP 퇴직연금 수령방법ㅣ중도해지 VS 연금 수령 (0) | 2023.12.22 |
---|---|
퇴직연금 디폴트 옵션 간단 설명ㅣ장단점 소개 (0) | 2023.12.21 |
건강보험 피부양자 자격조건 및 인터넷 등록 방법 총정리 (0) | 2023.12.19 |
2024 기초생활수급자 생계급여 최신 내용 정리ㅣ자격 요건 (0) | 2023.12.19 |
개인통관고유부호 1분만에 조회하기ㅣ발급, 조회 방법 (0) | 2023.12.18 |